1. 본인이 설정한 목표가 아닐 때
목표가 '나의 것'이 아니라는 신호는 목표를 말할 때마다 '해야 한다. 반드시 필요하다'라는 문구를 읊는 것입니다. 의무감 때문에 목표를 세웠다면 한발짝 물러나서 그 계기와 동기가 무엇인지 살펴보세요. 타인들을 기쁘게 하려고 혹은 그들로부터 버림받지 않으려고 목표를 설정했다면 과감히 제로 베이스에서 그 목표를 뜯어보세요.
2. 목표로 인해 자주 고통 받을 때
목표 달성 과정에서 긴장감과 두려움이란 감정은 당연히 정상적인 것이지만, 적당한 수준 이상으로 스트레스 받고 좌절감을 느낀다면 목표를 재고해야 합니다.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잠을 이루기 어렵다면 즉각 그 목표를 폐기해야 해요.
3. 결과에 집착할 때
원하는 연봉 수준에 도달하거나 높은 직책을 얻는 것에 관심을 많이 둔다면 그 과정에서 얻는 스킬과 역량은 보잘것없다고 여기는 오류에 빠지고 말아요. 어떻게 달성하는가보다 무엇이 되는 것에만 온 신경을 집중하고 있다면 여러분은 목표의 주인이 아니라 노예라는 뜻입니다.
4. 소중한 사람들을 무시할 때
가족, 연인, 친구 등과 함께 하는 시간이 아까운가요? 그들을 외롭게 만들고 있나요? 그럴 정도로 목표가 중요한가요?
5. 스스로를 합리화할 때
이미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여했기에 포기할 수 없다고 목표를 합리화한다면, 그 목표의 가치는 이미 사라졌을지 모릅니다. 그 목표를 계속 붙잡고 있으면 더 많은 시간, 돈, 에너지를 잃을 수 있죠.
그만둔다고 해서 실패가 아닙니다. 잘못된 목표를 과감히 포기하는 것이 용감한 일이고 장기적으로 가치있는 행동입니다. 여러분의 목표는 '건강'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