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읍소 버전을 봤든 중립 버전을 읽었든 사과하는 사람을 용서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참가자 그룹 사이에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다시 말해, 눈물 흘리기와 무릎 꿇기를 연출한다고 해서 더 많은 용서를 얻지는 못했죠. 사과를 하면서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이는 것과 같은 극적 요소(무릎꿇기, 머리 조아리기 등)는 '내가 이 정도로 잘못을 뉘우치고 있어'라는 감정을 상대방에게 잘 전달하는 효과가 분명 있지만, 그런 극적 요소를 연출한다고 해서 용서를 더 많이 받는 것은 아닙니다.
왜 그럴까요? 용서는 사과의 정도, 사과의 극적 요소에 좌우되지 않습니다. 용서는 가해자가 똑같은 잘못을 앞으로 저지르지 않겠다는 확실한 방법이 존재하고 그것이 실천될 때야 가능합니다. 피해자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가장 중요한 것은 사과의 양과 질이 아니라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행동이니까요.
피해자에게 진정으로 용서를 구하는 방법은 무릎 꿇기나 눈물 흘리기가 아니라, 재발을 방지하려는 구체적 계획을 실천해 가는 것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가해자는 피해자로부터 바로 용서 받을 생각을 해서는 안 됩니다.
상대방이 용서해 주길 기다릴 줄 모른다면 '내가 이렇게 사과하는데 왜 나를 용서하지 않지?'라고 의아해 하거나 '내 사과의 진정성을 몰라주고 너무하는 거 아니야!'라며 되려 화를 내며 피해자를 공격하는 적반하장으로 이어지고 말 겁니다.
'허락보다 용서를 구하는 것이 쉽다'라는 우스개 소리가 있는데요, 사고 싶은 물건을 구입하라는 배우자의 허락을 구하는 것보다 일단은 사놓고 나서 용서를 구하는 게 더 빠르다는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이제 이 말을 이렇게 바꿔보죠. '사과보다 용서를 받는 것이 백배 천배 어렵다’라고.
사과의 목적은 용서가 아닙니다.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는 약속입니다. 약속을 실천할 때 비로소 용서 받을 겁니다. (끝)
*참고논문
Hornsey, M. J., Wohl, M. J. A., Harris, E. A., Okimoto, T. G., Thai, M., & Wenzel, M. (2019). Embodied remorse: Physical displays of remorse increase positive responses to public apologies, but have negligible effects on forg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