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공부를 잘 하려면 암기하지 말고 공부한 것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학습과 관련한 책에서도 암기보다는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죠. 하지만 그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공부를 잘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배운 것을 외우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보면 바로 알 수 있죠. 암기는 기본기와 기초를 다지는 필수 요소임을 그들은 알기 때문입니다.
왜 그럴까요? 이유를 말하기 전에 유명 예술가들을 떠올려 보세요. 천재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아직 20세가 되지 않은 어린 제자들을 가르칠 때 절대로 붓과 물감을 만지지 못하게 했다고 해요. 오직 거친 철필만을 써서 유명한 작품을 똑같이 따라서 그리게 했습니다. 몸으로 기술을 '암기'하도록 하기 위함이었죠.
피카소의 그림을 보면 ‘이런 건 나도 그리겠다’라는 느낌이 들 텐데요, 하지만 피카소가 명작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어렸을 때부터 힘든 훈련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가 입체파 화풍을 본격적으로 펼치기 훨씬 전인 10살 때 그린 그림을 보면(아래 사진) 그가 얼마나 기본기가 탄탄한 화가였는지 대번에 알 수 있습니다. 그는 어린시절부터 손 끝으로 미술의 기법을 암기했습니다.
세계적인 바이올린 연주자 장영주. 사람들은 그녀에게 천재라고 이야기하지만, 그녀는 이렇게 받아칩니다. “나는 천재가 아니다. 매일매일 연습한다. 성공의 비밀은 끊임없는 연습이다”라고 말이죠.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고개를 끄덕거리면서 ‘나도 그렇게 연습을 많이 해야겠다’라고 다짐합니다.
이렇듯 사람들은 몸으로 기본기를 연마하는 스포츠 선수나 예술가들의 노력은 당연하게 여깁니다. 하지만 뭐 하러 힘들게 외워? 인터넷이나 책 찾아보면 다 나오는데. 요즘엔 챗GPT도 있으니까 말이야.’라고 말하면서 머리로 기초를 다지는 암기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사고의 폭을 좁히고 창의력을 저해한다는 이유 때문에 암기는 지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것 참 이상하지 않나요? 모순 아닌가요?
암기해 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항상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걸 아셔야 합니다. 눈 앞에 어떤 장면이 펼쳐졌을 때 기본 지식을 외우고 있는 사람은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발화(發火)시킬 가능성이 높아요. 그렇지 않은 사람은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차리지 못할 겁니다.
노벨상을 받은 리처드 파인만이라는 물리학자, 사람들은 그가 천재인 줄 압니다. 하지만 그의 IQ 점수는 고작 125였어요. 천재의 아이큐라고 말할 수 없는 수준이었죠. 그럼에도 그는 중요한 논문이나 수학적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할 때까지 한 자 한 자 끝까지 파헤치고 암기했기에 나중에 양자 운동을 독창적으로 설명하는 자신만의 방법을 고안해냈습니다. 선천적인 지능 때문에 위대한 업적을 세운 게 아니었습니다.
사람들은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말을 종종 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저는 기본을 지키는 것이 초심이라고 봅니다. 기본이 기교로 변질됨을 막는 것은 부단한 연습과 암기 이외에는 없어요. 열심히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늘 제자리에서 맴돈다는 느낌이 든다면 기본을 멀리하고 기교 높이기에 열중하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오늘은 기교의 유혹을 뿌리치고 기본기가 되는 지식을 하나만이라도 암기하는 하루가 되기를 바랍니다.
'유정식의 경영일기' 모두 읽기
지금까지 발행된 경영일기를 몰아보시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세요. 놓치신 글들을 모두 읽으실 수 있습니다. 주변 지인들에게 구독하라고 많이 소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