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유 작가의 설명을 듣자마자 이 '도척의 5도'가 리더십의 기본을 매우 간명하게 함축한 말이라고 느꼈습니다. 어디에 가치 있는 재물이 숨어 있는지 알아내는 능력, 즉 '성'은 사업의 기회나 문제의 원인을 간파할 줄 아는 리더의 비즈니스 마인드를 가리키는 요소입니다.
그리고 도둑질할 타이밍을 판단하고 도둑질할 방법을 계획하는 능력, 즉 '지'는 시대의 흐름을 주시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직원들에게 그 방법의 빅 픽처를 제시할 수 있는 전략적 사고를 뜻하죠. 경계가 삼엄하고 위험이 도사리는 곳에 먼저 들어가는 자세, 즉 '용'은 실패의 두려움에 사로잡히지 않고 앞장서서 전략을 추진하는 실행력을 의미합니다.
훔치고 나서 부하들이 다 빠져나갔는지 확인하고 마지막에 탈출하는 자세, 즉 '의'는 실행했던 전략이 실패하더라도 그 책임을 온전히 자신이 감수하겠다는 것을 말합니다. 요즘에 워낙 다른 이들에게 책임을 돌리는 리더들이 많기에 이는 매우 중요한 '리더의 도'입니다.
마지막으로, 훔친 재물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행동, 즉 '인'은 전략의 성공으로 일궈낸 성과물을 극소수의 경영자나 대주주가 독점하지 않고 그 성공을 이룬 모든 이들에게 각자 기여한 만큼 공정하게 평가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려는 리더십 요소입니다.
도척의 5도를 리더십의 다섯 가지 요소로 정리하면 이렇게 되겠네요.
성(聖): 비즈니스 마인드
지(知): 전략적 사고
용(勇): 실행력
의(義): 책임감
인(仁): 공정한 평가/보상
만약 어떤 이가 리더라는 감투를 쓰고 있음에도 이 다섯 가지 요소 중에 하나라도 가지지 못한다면, 우리는 그를 '강도만도 못한 사람'이라고 불러야 하지 않을까요?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