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데일 패러독스(Stockdale Paradox)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모르는 분들을 위해 말씀드리면 이렇습니다. 이 말은 베트남 전쟁 중에 하노이 힐턴 수용소에서 포로 생활을 하던 미국의 장교 짐 스톡데일 장군의 이름을 딴 것이죠.
그는 1965년부터 1973년까지 8년간 수용돼 있으면서 4년간의 독방 생활과 수십 차례의 모진 고문을 견뎌내야 했습니다. 전쟁 포로를 보호하기 위해 체결된 제네바 협약은 그곳에서 무의미한 선언에 불과했죠. 포로로서의 권리는 무자비한 폭력 앞에 무릎을 꿇었고 정해진 석방 날짜 없이 끝도 모를 전쟁을 이겨내야 했습니다.
대부분의 장교들은 포로 생활 중에 숨을 거뒀지만, 그는 미국의 장성으로서는 유일하게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생환의 비밀을 묻는 기자에게 그는 이렇게 말했죠.
“나는 믿음을 잃은 적이 없습니다. 그곳에서 풀려날 희망을 추호도 의심치 않았으며, 결국에는 빠져 나와서 나중에 그 끔찍한 경험을 내 생의 전기로 전환시키고 말겠다는 다짐을 하곤 했습니다.”
기자는 다시 물었습니다.
“그렇다면 견뎌내지 못한 사람들은 누구였습니까?” 그가 대답했습니다. “낙관주의자들은 견뎌내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크리스마스가 오면 나갈 수 있을 거야, 라고 스스로를 위로하다가 크리스마스가 지나버리면 부활절이 오면 나갈 수 있겠지, 라고 말하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결국 상심하다가 차례차례 죽어갔습니다.”
우리는 보통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좋은 것을 상상하면서 지금의 고난을 잊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다 잘 될 거야. 좋은 날이 올 거야.” 라며 위로하지만 결국 이러한 말은 오히려 현실의 괴로움과 어려움을 변치 않을 운명으로 굳어 버리게 만들고 현실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영원히 꺾게 만들 수도 있죠.
상상만으로 좋은 날은 오지 않습니다. 스톡데일이 참담한 상황을 이기고 살아 돌아올 수 있었던 이유는 근거 없는 희망을 버리고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단기적인 목표를 끊임없이 세우고 하나씩 이루어 낸 것에 있습니다.
비전이란 멋들어진 몇 마디의 문구로 꾸민 장밋빛 미래를 일컫는 말이 아닙니다. 낙관주의로 비전을 치장해서는 안 되죠. 스톡데일의 사례처럼, 올바른 비전은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하고 현재 처한 상활에서 최대한의 노력으로 달성이 가능한 미래를 설정하도록 합니다. 이것이 비전의 힘입니다. 여러분에겐 어떤 비전이 있나요? (끝)
저의 신간 <시나리오 플래닝>은 아래의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구매를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