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일 미팅이 형식적인 이벤트로 고착되는 경우가 여러 회사에서 발견되는데요, 할말이 없다보니 리더는 매번 동일한 질문을 던지고 팀원들은 대답을 지어내야 하니 양측 모두 힘 낭비가 엄청나다고 고백하더군요. 그래서 회사가 직원들을 위해 일대일 미팅을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직원들을 감시하고 통제하려고 한다는 오해가 팽배하기도 합니다. 좋은 취지로 시작했던 일대일 미팅이 어느 순간 흐지부지되기도 하죠.
그렇다면, 일대일 미팅을 어떻게 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을까요?
먼저 목적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일대일 미팅의 목적이 업무 검토인지, 관계 강화인지, 성장 코칭인지 명확히 해야 각 미팅에서 무슨 말을 할지 로드맵이 어느 정도 그려지지 않겠습니까? 업무 검토를 위한 일대일 미팅인데 갑자기 “요즘 회사 생활의 어려움은 뭔가?”라고 물어봐서는 안 되겠죠.
그리고 가능한 한 팀원이 주도하게 해야 합니다. 리더가 아니라 팀원들이 하고 싶은 주제로 일대일 미팅을 진행하고 미리미리 아젠다를 잡도록 해야 하죠. 리더는 팀원이 하는 말을 들으면서 조언하는, 촉진자 역할만 해도 충분합니다.
마지막으로, 미팅이 끝난 후에는 간단한 피드백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오늘 대화 중에 도움이 된 건 뭐였어요?", “아니면, 다음에 바꾸고 싶은 방식이 있다면?" 같은 짧은 질문만으로도 일대일 미팅의 질은 점점 좋아질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아무리 좋은 제도라 해도 ‘효과있게 운영하겠다’라는 의지가 약하면 흐지부지해지거나 오히려 성과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일대일 미팅을 하라고 지시만 하지 말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계속 들여다보면서 수정해 가야 합니다.
운전대(스티어링 휠)을 꽉 붙잡고서 계속 직진만 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좌우 어느 한쪽으로 쳐박히고 말 겁니다. 일대일 미팅도 마찬가지입니다. 좌우로 끊임없이 ‘보타’를 해줘야 일대일 미팅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끝)
*참고논문
Edmondson, A., & Lei, Z. (2020). Psychological Safety: The History, Renaissance, and Future of an Interpersonal Construct. Annual Review of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MIT Sloan Management Review. (2021). How Bad 1:1s Make Good Teams Worse.
|